
임대차계약 승계 거부 후 보증금 반환 소송, 1·2심 모두 승소
2025년 03월 18일
법인회생 vs 간이회생 내 기업에 맞는 선택은?
2025년 03월 21일기업의 위기, 회생을 선택하다
A기업은 반도체 장비 및 2차전지 제조설비를 제조·판매하는 기업으로, 코로나19로 인한 해외 인력 이동 제한과 비용 증가로 심각한 유동성 위기에 처했습니다.
결국, 누적된 부채로 인해 재정적으로 더 이상 정상적인 영업을 지속하기 어려운 상황이 되었습니다.
이러한 어려움 속에서 A기업은 회생절차를 통해 재기의 발판을 마련하기로 결정하였고, 2022년 1월 27일, 서울회생법원은 법인회생 개시를 결정하였습니다.
법원이 회생절차 개시를 결정한 이유
법원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회생절차 개시를 승인하였습니다.
신청인들이 채무자 자본의 10분의 1 이상을 보유한 채권자로서 신청 요건을 충족함
A기업이 반도체 및 2차전지 제조설비를 생산하는 기업으로서 사업 가치가 존재함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일시적인 유동성 위기를 겪었을 뿐, 회생 가능성이 있음
**부채 초과 상태(총 자산 88억 원, 총 부채 280억 원)**로, 회생절차가 없으면 파산 가능성이 높음
이에 따라 법원은 회생절차 개시를 결정하였으며, 관리인을 따로 선임하지 않고 대표이사를 관리인으로 지정하여 회사 운영을 지속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앞으로의 절차 및 기대 효과
법원의 개시결정 이후,
회생채권 및 회생담보권 신고와 조사가 이루어지고
법정 기한 내 회생계획안을 제출하여
채권자들의 동의를 얻는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회생절차가 성공적으로 진행되면, A기업은 채무를 조정받고 경영 정상화를 이루게 됩니다.
이는 단순한 채무 면제가 아니라, 기업이 다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지원하는 과정입니다.
법인회생을 고려하는 기업들에게
이번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기업이 재정적으로 어려움을 겪더라도 회생절차를 통해 다시 일어설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집니다.
단, 법원의 승인을 받기 위해서는 기업의 회생 가능성을 충분히 입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경영 위기를 겪고 있는 기업이라면 법인회생 절차를 적극 검토해볼 필요가 있으며, 전문가의 조력을 받는 것이 성공적인 회생을 위한 핵심 요소가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