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찰방해죄 징역형 위기에서 벌금형으로 성공적인 변론 사례
2025년 03월 14일
임대차계약 승계 거부 후 보증금 반환 소송, 1·2심 모두 승소
2025년 03월 18일첨단소재 기업의 위기, 회생절차를 선택하다
의뢰인 회사(A소재테크)는 2000년에 설립되어 정보산업용 소재 및 디스플레이용 첨단소재를 제조·판매하는 회사였습니다.
그러나 2018년 이후 원재료 구매방식의 변경으로 인한 자금 경색과 연구개발 과정에서의 과도한 차입금 부담으로 인해 심각한 유동성 위기를 겪게 되었습니다.
결국, 누적된 금융비용 부담과 부채 증가로 인해 기업 운영이 한계에 도달하였고, A소재테크는 법인회생 절차를 신청하였습니다.
이에 서울회생법원은 2021년 1월 19일자로 회생절차 개시를 결정하였습니다.
법원이 회생절차 개시를 결정한 이유
법원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회생절차 개시를 승인하였습니다.
• 채무초과 상태: 신청일 기준 자산 약 95억 원, 부채 약 104억 원으로 채무초과 상태
• 일시적 유동성 위기: 기술개발 과정에서의 과도한 차입과 금융비용 부담이 주요 원인
• 사업 지속 가능성: 디스플레이용 첨단소재 개발을 진행하는 기업으로서 산업적 가치 존재
• 파산 가능성 존재: 회생절차 없이는 채권자들의 강제집행으로 파산 가능성이 높음
이에 따라 법원은 A소재테크의 회생절차 개시를 결정하였으며, 대표이사를 관리인으로 지정하여 기업이 계속 운영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회생절차 개시결정 이후의 기대 효과
회생절차가 개시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지만 가장 피부에 와닿는 변화는 매월 발생하며 회사를 옥죄던 금융비용(이자)에서 해방된다는 것입니다.
• 회생채권 및 회생담보권 신고·조사가 이루어지고
• 법정 기한 내 회생계획안을 제출하여
• 채권자들과 협의하여 채무를 조정하는 절차를 거치게 됩니다.
회생절차가 성공적으로 진행되면, 기업은 채무를 감축하고 재정적 안정을 찾으며, 지속적인 성장을 도모할 수 있게 됩니다.
법인회생이 필요한 기업들에게
이번 사례에서 알 수 있듯이, 기업이 심각한 재정적 위기를 겪더라도 회생절차를 통해 새로운 기회를 마련할 수 있습니다. 특히, 산업적으로 가치가 있는 기업이라면 법원이 회생절차 개시를 승인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러나 회생을 신청하는 과정에서 기업의 회생 가능성을 충분히 입증하는 것이 핵심이며, 이를 위해 법률 전문가의 조력이 필요합니다.
기업 운영이 어려운 상황이라면 법인회생을 적극적으로 고려하고, 전문가와 상담하여 최적의 해결책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